728x90
개요
redhat 공식 문서를 토대로 정리하였다.
32.4. 킥스타트 옵션 Red Hat Enterprise Linux 6 | Red Hat Customer Portal
32.4. 킥스타트 옵션 Red Hat Enterprise Linux 6 | Red Hat Customer Portal
Access Red Hat’s knowledge, guidance, and support through your subscription.
access.redhat.com
auth 또는 authconfig (필수 사항)
auth --enableshadow --passalgo=sha512 # 시스템을 위한 인증 옵션을 선택
auth
-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인증 정보와 관련된 설정을 처리하는 도구로 이해된다.
authconfig
- 더 넓은 범위의 시스템 인증 설정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
--enableshadow
- 디폴트로 암호구는 암호화되어있고, shadow는 사용하지 않는다. 이 때 enableshadow 옵션으로
/etc/passwd 파일에 저장되는 것 뿐만아니라 /etc/shadow 파일에 저장되게 만든다.
--passalgo
- SHA-256 해싱 알고리즘을 설정하려면 authconfig --passalgo=sha256 --kickstart를 실행
- SHA-512 해싱 알고리즘을 설정하려면 authconfig --passalgo=sha512 --kickstart를 실행
텍스트 모드 or 그래픽 모드 설정 후 재부팅
#graphical ## 주석 해제 시 GUI 모드
text ## CLI 모드
reboot ## 재부팅
이미지 파일이 있는 레파지토리 읽어오기
### PXE 서버 환경에 따라 수정
nfs --server=192.168.203.132 --dir=/var/lib/tftpboot/rocky8.6
# url --url="<http://192.168.201.1/OS/rhel8.6>
# url --url="<ftp://192.168.201.1/OS/rhel8.6>
부트 옵션
firstboot --disable
--disable 또는 --disabled — 설정 에이전트가 시스템 부팅시 실행되지 않습니다.
--enable 또는 --enabled — 설정 에이전트가 시스템이 부팅되면 맨 처음에 실행됩니다.
언어 설정 & 시간
keyboard --vckeymap=kr --xlayouts='kr'
lang en_US.UTF-8
# System timezone
timezone Asia/Seoul --isUtc
네트워크 정보
대상 시스템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설정하여 설치 환경에서 네트워크 장치를 활성화한다.
설치 도중 네트워크 엑세스가 필요한 경우 첫번째 network 명령에 지정된 장치가 자동으로 활성화 됨
RHEL 6 버전 이상에서는 --activate 옵션을 사용하여 설치 환경에서 장치를 명확히 활성화해야함
# Network information
#network --bootproto=dhcp --device=enp0s25 --onboot=yes --ipv6=auto
network --onboot=yes --noipv6 --device=link --bootproto=dhcp --activate
--activate
- 설치 환경에 이 장치를 활성화합니다. 이미 활성화된 장치에서 --activate 옵션 사용하면 장치는
킥스타트 파일에 지정된 정보를 사용하도록 다시 활성화합니다.
--bootproto
- dhcp, bootp, ibft, static 중 하나 선택
정적 네트워크 설정(하나의 행에 지정해야 함)
- # network --bootproto=static --ip=10.0.2.15 --netmask=255.255.255.0 --gateway=10.0.2.254 --nameserver=10.0.2.1
--ip
— 장치의 IP 주소
--ipv6
— 장치의 IPv6 주소 또는 자동 근접 검색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auto 또는 DHCPv6 사용을 위한 dhcp입니다.
--gateway
— 단일 IPv4 또는 IPv6 주소로서 디폴트 게이트웨이입니다.
--nameserver
— IP 주소와 같은 기본 네임서버. 여러 네임 서버의 경우는 콤마로 구분해야 합니다.
--nodefroute
— 인터페이스가 디폴트 라우트로 설정되지 않게 합니다.
--activate
옵션을 사용하여 추가 장치를 활성화하려면 이 옵션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iSCSI 대상 별도의 서브넷에 있는 NIC 등입니다.
--nodns
— DNS를 설정하지 않습니다.
--netmask
— 장치의 넷마스크
--hostname
— 설치된 시스템의 호스트 이름
--ethtool
— ethtool 프로그램에 전달될 저수준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설정 정보를 지정합니다.
--onboot
— 부팅시 디바이스를 사용할지 여부.
--dhcpclass
— DHCP 클래스.
--mtu
— 장치의 MTU.
--noipv4
— IPv4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함.
--noipv6
— IPv6를 사용하지 못하게 함.
디스크 & 파티션
### 디스크 볼륨 구성에 맞게 수정
# System bootloader configuration
ignoredisk --only-use=sda
bootloader --append=" crashkernel=auto" --location=mbr --boot-drive=sda
### 파티션 구성
# Partition clearing information
#clearpart --none
clearpart --all --initlabel --drives=sda
#clearpart --all --initlabel --drives=sda
## Disk partitioning information
# EFI Bios 환경에서 아래 주석 제거
# part /boot/efi --asprimary --fstype=vfat --label EFI --size=200 # For UEFI
# 파티션 구성에 맞게 수정
part swap --fstype="swap" --size=4096 --ondisk=sda
part / --fstype="ext4" --asprimary --ondisk=sda --grow
#part /xtmp --fstype="ext4" --size=500
#bootloader --append=" crashkernel=auto" --location=mbr --boot-drive=sda
#part / --fstype="ext4" --ondisk=sda --grow
#part swap --fstype="swap" --size=8000 --ondisk=sda
#part /xtmp --fstype="ext4" --size=1 --ondisk=sda --grow
디스크
# ignoredisk --only-use=sda
- 설치 프로그램이 지정된 디스크를 무시하도록 한다. 이는 자동으로 자동 파티션을 사용하고, 디스크
중 일부를 무시하고자 할 때 유용하다.
예를 들어 ignoredisk 없이는 SAN 클러스터를 설치하려할 때 킥스타트가 실패할 것이다.
왜냐하면 설치 프로그램은 SAN에 대한 수동 경로를 인식하게되며, 그 경로는 파티션 테이블을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only-use=sda
- 설치 프로그램이 사용할 디스크 목록을 지정
다른 모든 디스크는 무시된다. 예를 들어 sda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사용하고 다른 모든 디스크를
무시하려면 # ignoredisk --only-sda=sda 위와 같이 입력한다.
부트로더
--append-
- 커널 매개 변수를 지정한다. 여러 개의 변수를 지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변수들을 빈 공간으로
구별하면 됨
# bootloader --location=mbr --append="hdd=ide-scsi ide=nodma"
--driveorder
- 다음과 같이 BIOS 부트로더에 첫 번째 드라이브를 지정
# bootloader --driveorder=sda,hda
--location==
- 부트 레코드가 기록될 장소를 지정 다음과 같은 장소를 입력 가능
mbr(기본) partition(커널을 포함하는 파티션의 첫 번째 섹터에 부트로더 설치)
또는 none(부트로더를 설치하지 않음)
--password=
- GRUB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GRUB 부트 로더의 아호를 이 옵션으로 지정한 단어로 한다.
이 기능은 임의의 커널 옵션이 넘겨질 수 있는 GRUB 셀 사용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야함
--upgrade
- 기본 부트로더의 엔트리를 보존하면서 설정을 업그레이드한다. 이 옵션은
업그레이드에서만 사용한다.
Clearpart(선택 사항)_파티션 구성
시스템에서 새로운 파티션의 {_생성에 앞서 기존 파티션들을 삭제한다.
디폴트로, 파티션을 제거하지 않는다.
--all
- 모든 리눅스 파티션을 삭제
--drivers=
- 어떤 드라이브에서 파티션을 삭제할지를 지정한다.
예를 들어 다음 명령은 1차 IDE 컨트롤러에 있는 처음 2개의 드라이브의 파티션을 삭제
-- initlabel
- 컴퓨터의 구조에 맞는 디폴트 디스크 레이블을 초기화
이 옵션을 사용하면 설치 프로그램이 새로운 하드 드라이브에 설치할 때
디스크 레이블을 초기화 할 것인지 여부를 묻지 않기 때문에 융용하다.
--linux
- 모든 리눅스 파티션을 삭제
--none
- 어떤 파티션도 삭제하지 않는다.
논리 볼륨(logvol)
-- noformat
- 기본 논리 볼륨을 사용하고 포맷하지 않음
--useexisting
- 기본 논리 볼륨을 사용하여 재포맷
--fstype=
- 해당 파티션에 사용될 파일 시스템 유형을 설정
ex) xfs, ext2, ext3, ext4, swap, vfat, hfs ...
--fsoptions=
- 파일시스템을 마운팅할 때 형태가 자유로운 옵션 문자열을 지정
이 문자열은 설치된 시스템의 /etc/fstab 파일에 복사될 것임.
반드시 따옴표로 묶여 있어야만 함
--grow=
- 파티션이 사용 가능한 공간을 다 채우거나, 지정한 최대 용량을 채울 때까지
증가하도록 설절
--maxsize=
- 논리 볼륨이 증가하도록 설정한 경우 메가바이트 단위의 최대 크기
여기에 500과 같은 정수 값을 지정
--asprimary
- 파티션을 자동으로 1차 파티션이 되도록한다.
1차 파티션 지정이 안되는 경우에는 파티션 생성이 실패한다.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ickStart / PXE 기본 설치(NFS) (0) | 2024.02.13 |
---|---|
MBR(BIOS) & GPT(UEFI) (0) | 2024.02.13 |
SCP (0) | 2024.01.22 |
Kickstart 설치 시 네트워크 정보 미리 설정 (0) | 2024.01.03 |
PXE(FTP)_CentOS07 (0) | 2023.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