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DevOps65

[DevOps]GitLAB 설치 1. GitLab 패키지 저장소 추가1.1 필수 패키지 설치sudo apt updatesudo apt install -y curl ca-certificates gnupg 1.2 GitLab GPG 키 추가curl -fsSL https://packages.gitlab.com/gitlab/gitlab-ce/gpgkey | sudo gpg --dearmor -o /usr/share/keyrings/gitlab-archive-keyring.gpg 1.3 GitLab 레포지토리 추가 저장소를 /etc/apt/sources.list.d/에 추가echo "deb [signed-by=/usr/share/keyrings/gitlab-archive-keyring.gpg] https://packages.gitlab.com/.. 2024. 12. 6.
[DevOps] Harbor를 활용한 private registry 구축 1. 환경 정보OS : Ubuntu24.04Docker : 27.3.1Docker Compose version v2.25.0 2. 사전 준비2.1 Docker 설치sudo apt updatesudo apt install docker.io 2.2 Docker Compose 설치sudo curl -L "https://github.com/docker/compose/releases/download/v2.25.0/docker-compose-$(uname -s)-$(uname -m)" -o /usr/local/bin/docker-composesudo chmod +x /usr/local/bin/docker-composedocker-compose --version # 설치 확인  3. 인증서 생성 및 구성 Docke.. 2024. 12. 6.
[Ubuntu24.04]OpenLens 설치 1. OpenLens란 무엇인가?OpenLens는 Kubernetes 클러스터를 관리하는 데 필요한 여러 도구들을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합니다. Kubernetes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명령줄을 통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해야 하지만, OpenLens는 이 모든 작업을 GUI를 통해 보다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원래 OpenLens는 Lens라는 상용 제품에서 파생되었습니다. Lens는 매우 인기 있는 Kubernetes 관리 툴이지만, 상용 제품으로 판매되고 있어 일부 기능은 유료입니다. 이에 비해 OpenLens는 완전 오픈 소스로, 무료로 제공되며, GitHub에서 소스를 내려받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OpenLens는 Kubernetes 환경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D.. 2024. 12. 3.
[DevOps]DevOps 환경에서 CI/CD 프로비저닝 구성하기: 이미지 기반 파이프라인과 인프라 자동화 최근 DevOps의 CI/CD 파이프라인과 프로비저닝에 대한 개념이 조금씩 이해가 가면서, 저만의 DevOps 아키텍처를 설계하게 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GitLab, Jenkins, Helm, Terraform 등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여 환경을 구성하고 모니터링을 설정했습니다. 오늘은 제가 이해한 내용을 바탕으로 DevOps 엔지니어의 관점에서 인프라를 구성하는 방법과 각 도구의 역할에 대해 공유해보겠습니다.  현재까지 가 이해한 대로 구성도를 짜보았습니다. Dev 파트 (CI): GitLab, Jenkins, Github Actions를 활용한 CI 파이프라인DevOps 환경에서 CI 파이프라인의 중심에는 GitLab과 Jenkins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GitLab을 통해 코드 변경 사항을 관리.. 2024. 11. 15.
[DevOps]인프라 자동화의 핵심 도구들: Terraform, cloud-init, Helm, Ansible, Vagrant 자동화와 인프라 관리는 이제 IT 환경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았습니다. 인프라를 코드로 관리하는 IaC(Infrastructure as Code) 도구들이 발전하면서, 개발과 운영 환경에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일관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생겼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Terraform, cloud-init, Helm, Ansible, Vagrant와 같은 대표적인 자동화 도구들을 살펴보고, 이들을 가상머신, 컨테이너, Kubernetes 환경에 적용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Terraform: 인프라를 코드로 선언하기Terraform은 클라우드 리소스를 코드로 선언하고 프로비저닝하는 도구입니다. AWS, GCP, Azure 같은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뿐 아니라, vSphere, .. 2024. 11. 9.
[Devops] Terraform + Cloud-init & Ansible 현대의 IT 인프라 환경에서, 시스템 관리자와 DevOps 엔지니어들은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자동화 도구를 사용합니다. 이 글에서는 Terraform + Cloud-init 조합과 Ansible을 비교하여 각 도구의 역할과 사용 목적을 살펴보겠습니다. 특히 위의 이미지에서 각 도구의 주요 사용 영역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Terraform과 Cloud-init의 조합: 인프라 프로비저닝 및 초기 설정Terraform의 역할: 인프라 생성 및 관리Terraform은 Infrastructure as Code (IaC)를 지원하여 AWS, Azure, GCP와 같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인프라 리소스를 선언적 코드로 정의하고 관리합니다. 이를 통해 EC2 인스턴.. 2024. 11. 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