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DevOps/Kubernetes20 [kubernetes]로드밸런싱을 위한 control-plane 증설 개요아래와 같은 환경에서 현재 로드 밸런싱을 위하여 control-plane 2대를 증설하려고 한다. # k get noNAME STATUS ROLES AGE VERSIONkubemaster210 Ready control-plane 61d v1.28.15kubenode211 NotReady 61d v1.28.15kubenode212 Ready 61d v1.28.15kubenode213 Ready 61d v1.28.15kubenode214 Ready 61d v1.28.15 환경 구성OS : Ubu.. 2025. 1. 11. [kubernetes] Windows에 Powershell(curl 명령어)로 쿠버네티스 설치하기 참고https://kubernetes.io/ko/docs/tasks/tools/install-kubectl-windows/ 윈도우에 kubectl 설치 및 설정시작하기 전에 클러스터의 마이너(minor) 버전 차이 내에 있는 kubectl 버전을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v1.32 클라이언트는 v1.31, v1.32, v1.33의 컨트롤 플레인과 연동될 수 있다. 호환되는 최신 버전kubernetes.io 쿠버네티스 공식 문서를 보고 참고하면 된다. 설치 과정(curl 을 사용하여 kubectl 바이너리 설치)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준다. PS C:\WINDOWS\system32> curl.exe -LO "https://dl.k8s.io/v1.32.0/bin/windows/amd6.. 2024. 12. 19. [Kubernetes] 클러스터 구성 중 접한 ERR ERR# kubeadm init --pod-network-cidr=10.96.0.0/12 --apiserver-advertise-address=192.168.207.231I1017 11:20:16.467463 4146 version.go:256] remote version is much newer: v1.31.1; falling back to: stable-1.28[init] Using Kubernetes version: v1.28.14[preflight] Running pre-flight checks [WARNING FileExisting-socat]: socat not found in system patherror execution phase preflight: [preflight].. 2024. 10. 21. [Kubernetes] 클러스터에 노드 추가 클러스터 구축 후 토큰 값을 까먹거나 여러 요인들로 추가로 작업해줘야할 경우에 아래 과정으로 실시하면 된다.Master 노드토큰 값 조회# kubeadm token listTOKEN TTL EXPIRES USAGES DESCRIPTION EXTRA GROUPS19iege.6onflcvyh6yr7bqq 21h 2024-09-09T06:10:33Z authentication,signing The default bootstrap token generated by 'kubeadm init'. .. 2024. 9. 10. [Kubernetes]CrashLoopBackOff 장애 컨테이너가 생성되자마자 바로 종료되어 CrashLoopBackOff 상태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yaml 코드에 slepp 구문을 추가합니다.kubectl run temp-pod1 --image=debian:10 --dry-run=client -o yaml > temp-pod1.yamlvi temp-pod1.yamlapiVersion: v1kind: Podmetadata: name: temp-pod1spec: volumes: - name: temp-vol emptyDir: {} containers: - image: ubuntu:14.04 name: temp-container1 volumeMounts: - name: temp-vol mountPath: /mount1 .. 2024. 8. 13. [Ubuntu]Kubernetes cluster Node 확장 (add node) # kubectl get nodes# kubectl describe nodes k8s-master 사전에 준비한 k8s-node3을 부팅하고 아래 내용을 점검한다.IP 주소 (192.168.207.203)Hostname 변경/etc/hosts의 127.0.1.1의 hostname 변경containerd 및 kubelet 서비스 restartfree (swapoff 확인)root@k8s-node3:~# cat /proc/sys/net/ipv4/ip_forward 1 확인ssh 접속 테스트이전에 포스팅한 글들을 참고하여 작업하면 된다.https://estar987.tistory.com/192 node join을 위한 token 확인 및 재생성(Master)node join을 위한 token 확인 및 재생성출.. 2024. 8. 12. 이전 1 2 3 4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