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283 기업 고르는 기준 1. 개요 사람마다 개인이 원하는 기업을 고르는 기준이 있을 것이다. 나는 1. 직무연관성, 2. 앞으로 커리어에 도움이 될지 여부, 3. 연봉, 4. 거리 순으로 고려하여 기업을 선택하였다. 2. 취준생이 가장 궁금할 이야기 나도 그랬고 취준생이 가장 궁금할 이야기는 본인이 지원한 회사가 괜찮은지, 본인이 합격한 회사가 갈만한 지가 가장 궁금할 것이다. 커뮤니티에서 물어보니 그 회사에 다니는 사람도 있고 해서 어디서 함부로 물어볼 수도 없을 노릇이다. 최대한 괜찮을 기업을 확률을 높일 수 있는 나만의 방법을 공개하려고 한다. 1. 면접은 무조건 가봐라 2. 하는 직무에 대해서 자세하게 물어봐라 3. 잡플래닛 평점 + 회사의 재무제표 + 회사 사이트를 분석해라 크게는 4가지 정도가 있는 것 같다. 1. .. 2023. 11. 28. 면접(2) 1. 개요 앞의 면접(1)과 연결된다. 여기서 중점적으로 말할 건 다양한 면접 경험이다. 2. 무조건 면접을 많이 봐라 다들 본인이 제일 가고 싶은 기업이 있을 것이다. 본인이 가고 싶은 기업만 지원하다가 서류에 붙으면 면접을 봐야하는데 면접 경험이 없다면 기회를 놓치게 될 확률이 높다. 나도 제일 가고 싶던 기업 중 하나였던 가비아를 이렇게 떨어지게 되었다. 본인이 가고 싶은 기업이 있다면 혹시 내부적으로 지원 기록이 남을 수도 있으니 일단 지원을 하지 않고 기업을 찾는 데 시간을 많이 투자해서 무조건 면접을 많이 경험하라고 추천하고 싶다. 혼자 면접 준비를 하고 면접 스터디를 진행한다고 해도 실제와 모의는 너무 다르기 때문에 실전으로 경험하는 것 만큼 면접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방법을 없을 것 같다.. 2023. 11. 28. 면접(1) 1. 개요 첫 면접은 지금 생각해도 아찔하다. 이력서들이 줄줄이 탈락해 공부에 조금 더 전념해야지 생각하던 중 갑자기 가비아 하반기 공채에 서류 합격이라는 소식을 듣고 급하게 면접 준비를 시작하면서 나의 본격적인 취준이 시작되었다. 2. 첫 면접 첫 면접은 가비아라는 회사에서 진행하였다. 시스템 엔지니어 직군을 꿈꾸고 있다면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기업일 것이다. 내가 가고 싶던 기업 TOP 5 기업에서 내 첫번째 서류 합격이라 되게 기쁘고 뜻 깊었다. 하지만 서류를 합격한 적이 없어서 면접 준비는 단 한번도 해본적이 없는 나로써는 기쁨과 같이 두려움과 떨림이 시작되었다. 합격 통보 이후 1주일간 면접에 관한 유튜브들도 보고 가비아 면접 복기도 구매해서 대비하고 나름 열심히 준비하였다. 하지만 첫 면접.. 2023. 11. 28. 포트폴리오 및 기술 명세서 작성 1. 개요 앞의 자소서 작성 포스트와 이어져 겹치는 부분이 많을 것 같은데 굳이 빼서 다시 한 번 언급할만큼 중요한 것이 포트폴리오와 기술 명세서 인 것같다. 엔지니어를 평가하는 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직무 이해도이기 때문에 가장 공을 들여야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2. 프로젝트별 설명 나는 개인적으로 공부한 것들, 학원에서 진행한 프로젝트, 해커톤, 캡스톤을 프로젝트 경험으로 나열하였다. 소제목으로 프로젝트의 주제를 쓰고 몇명이서 진행했는지, 어떤 식으로 진행했는지, 나의 역할이 뭐였는지 간단히 설명 후 그 프로젝트를 통해서 얻은 것을 기술하였다. 단순 자소서 항목을 작성하는 것일 수 있지만, 내가 여태 공부한 것들을 다시 한 번 정리하는 계기가 될 수 있고, 또한 다음 설명할 경력 기술서.. 2023. 11. 28. 자소서 작성 1. 필살기 자소서 작성의 시작은 필살기를 정하는 것이 시작이다. 자소서와 면접 관련해서 알려주는 다양한 유튜버들이 있는데 참고하는 것이 많이 도움이 됐다. 나는 면접왕 이형, AND(인싸담당자), 컴공선배, AWS 강의실, 기크루트, 기술노트with알렉 등의 채널들의 영상들을 보면서 준비했다. 굳이 비유를 하자면 자소서, 이력서, 포트폴리오, 경력기술서는 내가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것이고 면접은 내가 설정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연기?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기업에 제출한 정보를 기반으로 면접관이 질문들을 하기 때문에 본인의 필살기를 정확히 파악하여 잘 준비한다면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면접이 흘러가게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인이 생각한 방향과 너무 다르다면 그 기업은 나와 안 맞는 것이다라고 .. 2023. 11. 28. 프로젝트 경험 1. 토이 프로젝트 국비지원 교육에서 처음으로 다른 사람들과 협업하는 것을 경험하였다. 아무리 개발자, 엔지니어들이 컴퓨터랑만 대화한다고는 하지만, 모든 업무는 같이 업무를 진행하는 팀원들과도 대화를 해야되고, 더 나아가서는 다른 부서의 사람들과 고객과 대화를 하면서 목표를 달성해나가야한다. 처음엔 배운 걸 바로 따라하는 실습에서 시작하였지만 다른 사람들과 같이 어떻게 문제를 해결해 나갈지, 또 서로 부족한 점을 서로 알려주면 같이 성장할 수 있는 계기인 것 같다. 그래서 공부를 할 때 되도록이면 같은 커리큘럼으로 공부하는 사람을 구해서 같이 다양한 경험을 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러한 협엽 경험은 면접에서도 추가 점수가 될 수 있다. 면접을 보면서 느낌 점인데 흔히 말하는 요즘 MZ 세대들은 코로나를 겪.. 2023. 11. 28. 이전 1 ··· 44 45 46 47 48 다음 728x90